분류 전체보기 581

구획증후군

구획 증후군(compartment syndrome)은 우리 몸의 상지와 하지는 몇 개의 근육이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어 구획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구획 증후군은 여러 이유로 인해 부종이 심해질 때 근육 구획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그곳의 동맥을 압박하고 말단부의 혈액 공급을 차단하여 4~8시간 안에 구획 내 근육과 기타 연부 조직이 괴사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구획 증후군의 종류로는 임박형 구획 증후군과 만성형 구획 증후군이 있습니다. 임박형 구획 증후군은 조직의 압력이 상승하지만 조직의 괴사는 발생하지 않는 질환입니다. 확정형 구획 증후군은 조직의 괴사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만성형 구획 증후군(재발형 구획 증후군)은 재발한 임박형 구획 증후군을 의미합니다. 구획 증후군의 원인 구획 증후군의 원인은 다음..

건강 2021.12.17

내측 경골 스트레스 증후군

내측 경골 스트레스 증후군(medial tibial stress syndrome) 또는 경부목 (shin splint) 경창(shin soreness)은 경골의 전내측 또는 후외측 경계 주 위와 비골의 외측 면을 따라 발생되는 압통으로, 특히 경골의 원위 2/3 지점의 전내측을 따라서 발생되는 동통을 경부목 (shin splint) 또는 내측 경골 스트레스 증후군(medial tibial stress syndrome)라고 한다. 반복적이고 조화되지 않는 충격이 하퇴부에 가해지는 스포츠를 하는 체육인에게 흔히 발생되 며 전족부를 거상하거나 족지를 조절할 때 근육과 건들에 부적절한 긴장이나 스트레스가 가해져서 발생되며 남자보다 여자에서 1~1.5배 더 많이 발생하며, 반복적인 경골 내측 면의 동통에 의한 하..

건강 2021.12.16

측부 인대 부상

측부 인대 부상 무릎 관절 양쪽에 존재하는 두 개의 인대이며,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부 인대와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부 인대로 구성됩니다. 무릎이 안∙바깥쪽으로 과도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허벅지 뼈와 정강이뼈를 연결하는 기능을 합니다. 측부 인대 부상의 원인 1. 내측부 인대- 무릎이 'X'자 모양으로 꺾이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주로 운동(축구, 농구, 럭비, 스키 등)중 부상이나 교통사고, 걷다가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발을 헛디뎌 넘어지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데 무릎의 바깥쪽 외측면을 직접 가격을 당하거나 무릎 관절이 안쪽으로 꺽이면서 파열이 발생합니다. 2. 외측부 인대- 무릎이 ‘O’자 모양으로 꺾이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외측 측부 인대 단독 파열은 드물며, 전방십자인대 파열이나 후방십자인대 ..

건강 2021.12.15

십자인대 부상

양쪽 다리에 무릎 관절 안에서 십자 모양으로 교차하며 관절을 받쳐주는 두 인대를 십자인대라고 합니다. 관절의 중심을 잡아주고 경골이 미끄러지지 않게 앞에서 잡아주는 전방 십자인대(ACL)와 뒤에서 잡아주는 후방 십자인대(PCL)로 나뉘어 집니다. 주로 격한 운동, 노동 또는 일상 생활 중 급격한 방향 전환으로 무릎이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무릎에서 '뚝' 하는 소리가 나게 되면 십자인대가 손상되었을 확률이 높습니다. 간단한 표현으로 말하면 무릎이 돌아간 것입니다. 인대 두께는 전방보다는 후방 십자인대가 두꺼워서 상대적으로 전방보다는 후방 십자인대가 더 치명적인 부상으로 알려져 있고 치료 및 재활 기간도 전방보다 후방이 더 길다고 합니다. 무릎 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선수들에게 있어서 ..

건강 2021.12.14

근육긴장이상증

근육긴장이상증이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 없이 불수의적인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운동과 자세를 보이는 증상입니다. 근육긴장이상증이 생기는 원인에 대해서는 우리 뇌에는 운동을 조절하는 기저핵이라는 부위가 있는데 이 부위의 기능이상에 의해 생긴신경질환의 일종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국민마라토너로 유명한 이봉주씨가 근육 긴장 이상증으로 투병중이여서 많은 사람들이 알게된 특이한 병이고 치료가 어려운 난치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육 긴장 이상증의 증상 1. 안검연축 눈 주변 근육에 국한되어 근육긴장이상이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초기 증상은 자신도 모르게 자꾸 눈을 깜빡 거리며 본인이 하지 않으려 해도 억제가 되지 않습니다. 조금 더 나빠지면 너무 자주 눈을 깜빡거려서 사물을 볼 수 없을 정도로 진행합니다...

일반 2021.12.13

스포츠 부상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더뷸어 늘어나는 것이 스포츠로 인한 부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한 사람들의 욕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스포츠에 참여하고 스스로의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하는 인구가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한 처음의 의도와는 달리 많은 사람들이 스포츠 활동 중 부상을 입고 치료를 받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스포츠로의 참여가 많아짐에 따라 어쩔 수 없는 현상이지만 우리는 스포츠 부상에 대하여 제대로 알고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되겠습니다. 스포츠 부상의 원인 우리는 스포츠 활동을 하면서 자신이나 혹은 타인에 의해서 부상을 당할때가 있습니다. 이를 우리는 '스포츠부상' 이라고 합니다. 스포츠 부상가 일어나는 원인은 개인적인 원인과 환..

건강 2021.12.12

목디스크

목디스크(경추간판탈출증 cervical herniated nucleus)는 목 주변 근육과 인대가 오랜 시간 압력을 받아 퇴행되고 디스크까지 퇴행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디스크가 밀려 나와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하는 퇴행성 척추질환입니다. 따라서 제 자리에서 밀려 나온 디스크가 신경을 누르는 위치에 따라 목통증 외에도 두통과 어깨 통증, 손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방치할 경우 사지마비로 까지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의 목뼈 신경이 목을 타고 내려오다가 어깨를 거쳐 팔과 손가락 끝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목뼈의 디스크가 뒤쪽으로 삐져나와 신경을 누르면, 해당 부위 뿐 아니라 신경이 연결된 모든 부위에서 증상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어떤 마디의 디스크가 삐져나왔느..

건강 2021.12.11

어깨탈구

어깨 탈구는 쉽게 말해서 어깨가 빠지는 증상을 말하는데 어깨 관절의 뼈와 연골, 인대 등이 원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를 말합니다. 운동이나 사고를 통한 외상이 주요 요인이며 주로 움직임이 많은 10~30대 젊은 층에서 발생하지만, 손으로 바닥을 짚고 넘어지는 등 외상에 의해 중년층도 종종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스포츠를 좋아하는 인구가 늘면서 어깨 탈구 환자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어깨 관절이 탈구되면 심한 통증이 생기며 탈구된 부위가 붓고 멍이 들기도 합니다. 어깨뼈가 근처 신경을 압박하면 손이 저리거나 마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어깨는 한번 빠지면 재발성 탈구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재발성 탈구는 관절순, 관절연골 손상, 신경, 혈관 손상 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탈구시 신경..

건강 2021.12.10

관절와순손상(슬램병변)

관절와순손상은 조금 낯선 질환같은데 이것도 역시 어깨질환으로 섬유질 연골 윗부분이 찢어지게 되면 이두박근과 함께 뼈에서 떨어져 손상을 입고 통증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어깨 관절을 이루는 뼈 중에서 견갑골의 관절와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질의 연골인 관절와순은 이두박근의 장두건과 연결된 뼈에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손상 받기 쉽습니다. 위쪽의 관절와순이 이두박근의 장두건과 함께 뼈에서 떨어지는 것을 상부관절와순 파열, 또는 슬램병변이라고 합니다. 흔히 야구와 같은 구기 종목의 운동이나 레포츠중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운동 열풍과 함께 20, 30대 젊은 남성에서 흔히 발생하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낙상이나 일상 생활 중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절순 상부의 압박, 견인, 어깨관절 내회전 ..

건강 2021.12.09

어깨충돌증후군

어깨충돌증후군 어깨 충돌증후군이란 어깨의 견봉(어깨를 천장처럼 덮고 있는 견갑골의 일부)과 위팔뼈의 대결절부(회전근개 힘줄이 부착되는 부위)사이의 공간이 좁아지면서 뼈와 힘줄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정상 어깨 관절에서는 이 공간이 충분하지만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일을 하거나 심하게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또는 퇴행성 변화 및 뼈의 변이(돌출된 뼈)에 의해서 견봉과 어깨 힘줄 사이에 간격이 줄어들어 마찰이 발생하여 힘줄의 변성 및 통증이 발생되고 방치되면 회전근개 파열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어깨 위로 팔을 들어 일을 하는 사람이나 야구, 배구, 배드민턴 같이 팔을 어깨 위에서 쓰는 운동을 할 경우 발생 가능성이 큽니다. 어깨 충돌증후군의 원인 1.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일을 하는 직업이나..

건강 202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