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81

사도 도마와 땅끝

사도 바울이 예루살렘을 기점으로 유렵 즉 서쪽으로 복음을 전파하였다면 사도 도마는 동쪽으로 복음을 전파하였습니다. 그 당시에 유럽의 땅끝이라고 생각한 곳이 바로 사도 야고보가 순교한 산티아고입니다. 그와 반대로 사도 도마는 제비뽑기로 인도가 됐는데 인도는 로마제국의 속국으로 동쪽 땅끝이었습니다. 사도들의 사역 방법은 어디를 가든지 흩어진(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을 찾아 다녔습니다. 당시 사도들의 전도전략상 사도 도마가 인도에 왔을 때 찾아간 아유타족 역시 유대인 혈족입니다. 사실 BC 1000년 솔로몬시대 때부터 유대인들은 전 세계를 다니면서 무역을 했습니다 (왕상9:26,10:22). 그곳이 에시온게벨이란 항구입니다. 물론 지중해를 통해 유럽지역과도 교역을 했지만 에시온게벨은 그 위치상 교역 대상국이 다릅..

신앙 + CCM 2021.08.09

사도 도마를 생각하며 ...

한반도에 기독교가 유입된 경로는 일반적으로는 이방인의 사도 바울에 의해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기독교 복음이 로마를 거쳐 북아메리카, 아시아로 유입되었다는 서행론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은 바울의 1차, 2차, 3차 선교여행이 소아시아 연안지방을 지나 에베소, 빌립보, 고린도를 거쳐 로마로 복음을 전파했었고 청교도들이 핍박을 피해 북아메리카로 이주하면서 자연스럽게 기독교가 전파되고 그 후에 미국과 호주의 선교사들이 한국에 들어와 선교를 하여 우리나라에 소개되었다고 하는 이론입니다. 하지만 1988년부터 사도 도마의 선교여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한국에서 일어나면서 동행론도 최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예루살렘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곧바로 복음이 전파됐다는 학설인데 사도행전에는 이렇게 복음을..

신앙 + CCM 2021.08.08

세계에서 가장 이상한 국경들

국가는 구성하는 3대 요소는 국민, 영토 그리고 주권입니다. 국제사회로부터 이 3대 요소가 충족되어야만 국가로써 인정받게 됩니다. 이렇게 국가라는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로 영토인데요. 이 영토는 섬처럼 다른 국가와 맞닿지 않은 형태로도 존재하지만 다른 나라와 육지로 맞닿은 곳은 매우 다양한 형태가 구분이 되게 되고 심지어 일반적으로 이해하기어려운 이상한 형태의 국경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곳을 알아 보겠습니다. 1. 프랑스안에 위치한 스페인의 리비아 리비아(Llívia)는 스페인 카탈루냐주 지로나(Girona)주 세르다냐(Cerdanya) 코마르카에 있는 마을입니다. 그것은 Pyrénées-Orientales의 프랑스 département에 의해 둘러싸인 스페인 영토입니다. 2009년에 Llivi..

일반 2021.08.07

잡초 NO - 민들레의 효능

민들레는 이른 봄부터 늦가을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아시아, 유럽, 미국 등 전 세계적으로 약 2,000여 종이 존재합니다. 민들레는 여러해살이풀로 4월부터 9월 까지 꽃을 피우지만 워낙 땅속 깊숙이 뿌리를 내리기 때문에 추운 겨울에도 햇볕이 드는 곳이면 꽃을 피우기도 할 정도로 대단한 식물입니다. 민들레꽃이 지면 열매가 솜사탕 같은 가벼운 하얀 털뭉치로 변하고 바람이 불면 바람을 타고 멀리까지 흩어져 날아가 또 다른 곳에 보금 자리를 마련하고 봄이면 새롭게 싹을 틔우며 삶의 지평을 넓힙니다. 토종 민들레와 서양 민들레의 구분 민들레에도 토종 민들레와 서양에서 건너온 서양 민들레가 있는데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노란꽃의 민들레는 서양에서 건너온 서양 민들레이고, 하얀 꽃을 ..

일반 2021.08.06

잡초 NO - 아불식초의 효능

아불식초는 미나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서 아불식초 또는 지혈초라 불리며 꽃이 지고 씨앗이 든 자리가 마치 중의 머리 같다고 해서 중대가리풀이라고도 부릅니다. 영어로는 Centipeda minima라고 합니다. 땅을 기어가는 모습이 지네같았던 모양인지 centipeda라는 별명도 있습니다. 들판의 그늘진 곳에 흔히 자생하고 있는 아불식초는 따뜻한 남쪽지방에 분포하며 지혈작용을 하는 산야초입니다. 한방에서 비염이나 코알레르기를 치료하는 약재로는 보통 목련의 꽃봉오리인 신이와 창이자라는 약초를 사용하는데 아불식초도 이와 같은 효과가 있는 식물입니다. 아불식초는 시골 밭고랑 같은 데서 자라는 한해살이 풀로 땅에 붙어서 무리를 지어 자라는 습성이 있는 한마디로 들풀이고 잡초라고 할 수 있는 흔한 식물입니다. 중..

생활지혜 2021.08.05

잡초 NO - 비단풀의 효능

비단풀은 홍조식물로 여러해살이로 봄에서 여름에 걸쳐 무성하게 자라며 한천의 재료로도 사용된다고 합니다. 땅빈대라고도 불립니다. 식물체는 5∼50cm이고 원기둥 모양으로 약간 두꺼운 실모양의 곁가지가 나와 차례로 분지하여 부채꼴로 펴지며 위쪽 가지의 겨드랑이 부분에는 작은 가지가 엇갈려 나오기도 합니다. 가지는 한줄로 늘어선 세포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체색은 홍자색으로 오래 된 개체일수록 검붉게 변하며 결이 거칠어진다. 비단풀은 봄·여름에 무성하며 가을·겨울에 쇠퇴합니다. 한천(寒天): 하늘의 한기로 겨울에만 만들 수 있는하늘의 음식 한천 우뭇가사리나 꼬시래기와 같은 홍조식물을 뜨거운 물로 끓여 추출시킨 액을 여과, 응고시킨 뒤 동결 융해 탈수 건조의 과정을 여러차례 반복하여 만든 식품입니다. 우무는 ..

생활지혜 2021.08.04

잡초 NO - 질경이의 효능

질경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Plantago asiatica L.이며 원줄기가 없고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퍼지며, 자루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략 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얼싸안는 모양입니다.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4∼15cm, 너비 3∼8cm로서 평행맥이 있고 가장자리는 파상(波狀)되고 꽃은 6∼8월에 백색으로 피며, 잎 사이에서 10∼50cm의 꽃대가 나오고 위쪽에 꽃이 수상으로 밀착합니다. 과실은 삭과로 방추형이고 5, 6개의 종자가 들어 있습니다. 특히 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가에 나며, 고도에 관계없이 잘 자라며 생활력이 강한 식물입니다.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나고 일본·대만·중국·시베리아·말레이시아 등지에도 분포합니다. 질경이는 4..

생활지혜 2021.08.03

잡초 NO - 쇠비름의 효능

비름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Amaranthus mangostanus L.입니다. 비름은 한때 재배하기도 한 인도산 식물로 지금은 집 근처에서 자라는 잡초로 되어 있습니다. 높이는 1m에 달하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잎은 어긋나고 사각상 넓은 난형에서 삼각상 넓은 난형이며, 길이 4∼12Cm, 너비 2∼7Cm로서 끝이 둔하거나 다소 파진다. 밑은 예저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꽃은 7월경 피기 시작하며 잎겨드랑이에 둥글게 모여 달리지만 가지 끝이나 원줄기 끝에서는 잎이 없는 화서가 수상화서(穗狀花序)처럼 길게 자라며 꽃은 양성이며 수술은 3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꽃잎이 없고 꽃받침잎뿐입니다. 열매는 타원형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중앙에서 옆으로 갈라져서 뚜껑같이 벌어집니다. 어린 순은 나물로 ..

생활지혜 2021.08.02

잡초 NO - 한련초의 효능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한련초 효능에 대해서 설명하기전에 한련초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 한련초는 보통 논둑이나 습지에서 자랍니다. 우리가 자주 볼 수 있는 흔한 식물이고 논농사나 밭농사때 잡초로 여기고 베거나 뽑았던 기억이 있으실 것입니다. 크기는 10∼60㎝에 이르고 전체에 뻣뻣한 털이 있습니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없거나 아주 짧고 피침형입니다. 길이는 3∼9㎝이고, 너비는 5∼25㎜이다. 꽃은 두화로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자루 끝에 1개씩 달리며, 설상화는 흰색이고 가운데 대롱꽃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3~5개 모서리가 지고, 까맣게 익으며 갓털이 없습니다. 줄기를 자르면 검은 즙액이 나오며 잘라진 부분도 금세 까매진다. 한련초 효능 보통 쓰임새로는 생..

생활지혜 2021.08.01

Sleepy~ Cutie~~~

우리는 종종 반려동물로 인해 행복한 순간을 느끼게 됩니다. 박장대소하게 하는 귀염둥이들을 민나 보시죠. 1. 고약한 냄새이지만 출장간 주인의그리운 체취을 맡으며 ... 2. 가장 편안한 그만의 잠자는 모습 3. 10개가 넘는 본인의 베드를 놔두고 항상 이렇게 자는 이유가 뭘까? 4. 별나게 자는 모습 5. 잠자기 힘들때 나처럼!!! 6. 앉아서 놀다가 졸듯이 자는 귀요미 7. 보면 웃음이 나오는 잠자는 모습 8.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개팔자 9. 무슨 꿈을 꾸는 걸까? 10. 신나게 놀고 훅 정신이 놓고 자는 모습 11. 좋은 꿈을 꾸고 있는 중

반려동물 2021.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