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81

다섯 솔라 - 오직 그리스도

Sola Scriptura 오직 성경 Solus Christus 오직 그리스도 Sola Gratia 오직 은혜 Sola Fide 오직 믿음 Soli Deo Gloria 오직 하나님께 영광 종교 개혁자들의 다섯 솔라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 시리즈를 통해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첫번째로는 ‘오직 성경(Sola Scriptura)’를 통해 성경이 우리의 최종 권위가 되어야 함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두 번째로 살펴볼 ‘솔라’는 ‘오직 그리스도(Solus Christus)’입니다. 오늘날의 교회에서도 많이 들을 수 있는 표현이고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종교 개혁자들이 주장했던 ‘오직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중보자는 오직 그리스도 한 분 뿐이시다’라는 의미입니다. ..

신앙 + CCM 2021.03.06

다섯 솔라 - 오직 성경

1517년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그 성교회 정문에 붙인 ’95개조 논제(반박문)’이 도화선이 된 종교개혁이 일어났었습니다. 기독교가 태동하게 된 전환점이 된 사건이었으며 인본적인 신앙과 천주교와 교황에 의해 하나님으로 부터 멀어저 가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자성을 하게 되는 시발점이 되는 순간이었던 것입니다. 종교개혁이 영광스러운 과거인 이유는 다른 무엇보다 그들이 주장했던 혹은 그들의 주장에 내재되어 있던 ‘다섯 솔라(Five Solas)’라 불리는 근본정신 때문입니다. 이는 그들이 만들어낸 개념이 아니라 성경에 명시된 혹은 내재된 분명하고 핵심적인 개념인데, 당시 잊혀졌거나 왜곡되었거나 의미가 퇴색된 것들을 바로 잡기 위해 강조한 것입니다. 다섯 솔라는 아래와 같습니다. Sola Scriptura 오..

신앙 + CCM 2021.03.05

여성갱년기

여성갱년기란? 여성 갱년기란 노화로 인해 난소의 기능이 소실되면서 월경이 영구히 없어지는 폐경기 전후로 여성의 몸에 나타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폐경으로 인해 즉 여성의 몸이 노화가 진행되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적게 분비되기 때문에 몸속에 호르몬의 불균형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증상을 통들어 여성갱년기라고 부릅니다. 여성 갱년기 장애로 나타나는 증상 ①월경의 변화 월경주기, 기간, 양이 불규칙해지다가 1년 이상 월경을 하지 않으면 폐경이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② 혈관 운동 조절의 변화 혈관 운동 조절의 변화로 주로 얼굴과 상체가 화끈 달아오르는 느낌이 자주 생기고, 땀이 나거나 두통, 가슴이 두근거리기도 합니다. ③질과 방광의 증상 외음부가 건조하고 가려울 수 있으..

건강 2021.03.04

미세조류산업 - 아스타잔틴

미세조류(microalgae)란 현미경적 크기의 수중에서 광합성을 하는 생물로 전 세계적으로는 약 25,000여종, 우리나라에는 약 1,300여종이 존재한다. 미세조류는 기초 과학 및 기후변화 연구재료, 대체에너지, 먹이생물, 식품 및 의약품의 원료, 건강보조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미래사회에서 세계 최대 부상산업 1위와 2위를 동시에 차지하는 미세조류산업. 그중 해마토코커스에서 추출되는 아스타잔틴은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으며 매우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입니다. 유엔미래포럼은 2020년 이후 미래사회의 최대 부상산업을 1위 기후에너지(세계 자동차산업의 13배 정도), 2위 식음료 및 건강식품으로 꼽고 있습니다. 현대사회에서 에너지는 모든 일의 근원이며 우리는 에너지, 즉 전기 없이는 ..

건강 2021.03.03

남성 갱년기

남성 갱년기란? 여성은 보통 50세를 전후하여 폐경을 맞으면서 안면홍조, 발한, 성욕감퇴 등 이전에 겪지 못한 증상들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를 여성 갱년기라고 합니다. 여성 갱년기는 생리 중단으로 인해 여성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것인데 반해 남성의 경우 여성과 같은 폐경은 없지만, 30대 이후로 매년 남성 호르몬 분비가 1-2%씩 감소하면서 여성과 같은 여러 가지 갱년기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성갱년기 증상과 비슷해 이를 남성 갱년기라 하며 몇 년 전부터 이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습니다. 남성 갱년기의 증상 기본적으로 여성갱년기 증상과 유사합니다. 남성의 성징을 나타내는 남성호르몬의 감소에 의한 남성으로써의 기능적, 정서적 어려운 경우에 해당됩니다. 개인에 따라 다음의 증상 중 한 가지 ..

칼럼 2021.03.02

체형을 다듬는 음식들

평상시처럼 먹으면서 저절로 건강한 몸을 만들고 원하는 체중조절(다이어트)까지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수 많은 사람들이 도전했다 실패하고 또 도전하는 다이어트는 왜 성공하지 못 하고 실패하는 걸까요? 체중조절을 하고 싶다면 들어가는 양보다 소모하는 열량(에너지)이 많은면 당연히 체중은 내려가게 되어 있습니다. 아니면 이와 반대 평상시와 비슷한 루틴으로 움직이지만 들어가는 양을 줄이거나 열량(에너지)이 낮은 음식으로 대체하면 적은 열량의 음식과 대비하여 더 많은 열량의 소비가 이뤄지기 때문에 몸에 있는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체중이 빠지게 되어 자연스럽게 다이어트가 되는 것입니다. 자연스러운 다이어트가 중요합니다. 극단적인 다이어트는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고 설사 일시적인 성공을 할 수는 있지만 요요현상을 ..

건강 2021.03.01

은혜

내가 누려왔던 모든 것들이 내가 지나왔던 모든 시간이 내가 걸어왔던 모든 순간이 당연한 것 아니라 은혜였소 아침 해가 뜨고 저녁의 노을 봄의 꽃 향기와 가을의 열매 변하는 계절의 모든 순간이 당연한 것 아니라 은혜였소 모든 것이 은혜 은혜 은혜 한 없는 은혜 내 삶에 당연한 건 하나도 없었던 것을 모든 것이 은혜 은혜였소 내가 이 땅에 태어나 사는 것 어린 아이 시절과 지금까지 숨을 쉬며 살며 꿈을 꾸는 삶 당연한 것 아니라 은혜였소 내가 하나님의 자녀로 살며 오늘 찬양하고 예배하는 삶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축복이 당연한 것 아니라 은혜였소 모든 것이 은혜 은혜 은혜 한 없는 은혜 내 삶에 당연한 건 하나도 없었던 것을 모든 것이 은혜 은혜였소 모든 것이 은혜 은혜 은혜 한 없는 은혜 내 삶에 당연한 건..

신앙 + CCM 2021.02.28

행복

지금 행복하십니까? 이 대답에 자신있게 '예'하실 수 있다면 참 행복한 사람입니다. 이 행복이 남의 불행을 딛고 얻은 행복이 아니면 참 감사하고 즐거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한 사람의 행복은 좋은 바이로스와 같습니다. 한 곳에 머물지 않고 자꾸 사람들에게 퍼지기 때문입니다. 행복란 한 사람에 의해 주위가 밝아지고 다시 배가되어 퍼져 나갈때 우리는 행복바이러스라고 합니다. 행복은 단순하게 말하면 괴로움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에 매우 중요한 기반이 정신적인 건강을 수반하고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아가며 추구하는 목표입니다. 그렇다면 객관적인 행복을 정의할 수 있을까요? 예 객관적인 수치나 데이터로 만들 수는 있습니다만 그거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사..

칼럼 2021.02.27

현대적인 바벨탑

십만명에 달하는 많은 사람이 모여서 열광하는 스포츠, 유명가수의 콘써트 등이 수시로 열리고 있는 지금 우리는 코로나라는 바이러스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모이지 말고 떨어져 살으라는 강제 집행을 당하는 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하나님께서 사람들의 사용하는 언어를 다르게 하셔서 흩어지게 하셨는데 지금은 다시 모든 언어를 알아들을 수 있도록 동시통역이 가능한 AI이 나와 모든 언어가 하나처럼 사용할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은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자꾸 모여서 뭔가를 할려고 하는 조짐이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금이 바로 바벨탑을 쌓아던 그때와 같은 분위기는 아닌지 ... 또 다시 인간의 욕망과 욕심으로 인해 하나님의 심판을 받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인간들의 허영과 욕심으로 인해 자연은 파괴되고 그 자연에서 ..

칼럼 2021.02.26

넘치는 정보속에서

우리는 정보의 홍수에 빠져 허우적 거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시기에 살고 있습니다. 넘쳐나는 다양한 세상의 소식을 한시도 틈없이 과도한 정보때문에 본인만의 여유로운 생각을 할 틈도 없이 시간을 수동적으로 빼앗기고 사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20세기 말부타 심각한 글로발적 이슈가 된 것이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일 것입니다.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동식물은 자연적으로 개체가 균형을 이루며 살아가고 있지만 유일하게 인간만 이런 법칙에 벗어나 기하급수적으로 인구의 팽창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로 인해 먹기 위해 사육되는 동물도 인위적으로 늘어가야만 하고 자연의 생태계는 파괴되어 본래의 기능을 하지 못 하여 우리가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는 아이러니한 현실이 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은 어..

칼럼 2021.02.25